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빛나는 외교의 달인들

by 지금이순간마법처럼 2023. 9. 10.
728x90
반응형
SMALL

 

1. 다그 함마르셸드 (1905-1961)
다그 함마르셸드는 스웨덴 출신의 외교관으로, 1953년부터 그의 비극적인 사망까지 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직했습니다. 그는 국제 외교와 분쟁 해결에 대한 헌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56년 수에즈 위기 중에 함마르셸드는 이집트, 영국, 프랑스 간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유엔 긴급 대응군(UNEF)의 파견을 제안하여 외국군이 이집트에서 철수하는 것을 감독하게 했습니다. 이 제안은 받아들여졌으며 UNEF의 존재가 분쟁의 더 큰 고조를 막아주었습니다. 함마르셸드의 외교적 노력은 그를 1961년 노벨 평화상 수상자로 만들었으며, 그를 향한 소수의 사후 수상자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2. 헨리 키신저 (1923-present)
헨리 키신저는 독일 출생의 미국 외교관으로, 1970년대 동안 리처드 닉슨과 제럴드 포드 대통령 아래서 미국 국무장관으로 활약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냉전 시대 미국의 외교 정책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키신저의 가장 유명한 외교적 업적 중 하나는 소련과의 데탕트 협상이었습니다. 그는 소련 지도자인 레오니트 브레주네프와의 회담을 포함한 일련의 회담을 통해 냉전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1972년에 서명된 전략 핵무기 제한 협정(SALT)은 이러한 노력의 결과였습니다. 이 협정은 미국과 소련 사이의 핵 무기 경쟁을 안정화시키는 중요한 단계였습니다.

3. 미하일 고르바초프 (1931-present)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과거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총서기로, 냉전의 종식과 소비에트 연방 내의 '글라스노스트(공개성,투명성)'와 '페레스트로이카(재구축)'를 촉진한 역할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글라스노스트: 미하일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가 1980년대 후반에 소련(현 러시아)에서 도입한 정책.

기존의 비밀주의와 제한된 정보 접근에 대한 체제를 개혁하여, 인권과 양식의 확장, 언론 자유 강화 등을 추구

-페레스트로이카: 미하일 고르바초프(Mikhail Gorbachev)가 1980년대 후반에 소련(현 러시아)에서 도입한 정책.

소련의 경제체제와 정치적인 구조를 개혁하고 혁신하는 것을 목표로 함. 
중앙집권적인 계획경제 체제를 탈피하여 시장 원리와 경쟁을 도입 및 기업들에 대한 자율성과 개선된 생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경제 구조의 재조정을 추진.



1989년에 고르바초프는 세계 역사에 깊은 영향을 미친 외교적 여정을 시작했습니다. 아이슬란드의 레이캬비크에서 미국 대통령 로널드 레이건과의 회담을 통해 군비 축소에 대한 협상을 거의 이루어낼 뻔했습니다. 비록 정식 조약에는 이르지는 못했지만, 이 회담은 향후 핵 무기 감축 협정, 특히 중간 범위 핵 무기 감축 협정(INF)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고르바초프의 생산적인 협상 참여는 냉전의 종식과 소비에트 연방의 해체에 큰 공로를 세웠습니다.

위 인물들은 각각 다른 역사적 맥락에서 뛰어난 외교적 능력을 나타내어 분쟁 해결과 국제 관계의 형성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들의 노력은 외교와 국제 협력 역사에서 중요한 장면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