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렉산드로스, 그 후 이야기] 디아도코이의 분열

by 지금이순간마법처럼 2025. 3. 30.
728x90
반응형
SMALL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기원전 323년에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그의 거대한 제국은

후계 문제로 혼란에 빠졌어.

 

결국, 그의 부하 장군들(디아도코이, Diadochi) 사이에서

치열한 권력 투쟁이 벌어졌고,

오랜 전쟁 끝에 제국은 크게 세 나라로 분열되었어.

출처 네이버 위키백과

알렉산드로스 제국이 분열된 세 나라

  1.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Ptolemaic Kingdom, 이집트)
    • 통치자: 프톨레마이오스 1세 (알렉산드로스의 부하 장군)
    • 위치: 이집트, 리비아, 키레나이카, 그리고 팔레스타인 일부
    • 수도: 알렉산드리아
    • 특징: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이집트를 통치하면서도 그리스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인 헬레니즘 국가였어.
      • 알렉산드리아는 당시 세계적인 문화, 학문, 경제 중심지가 되었고, 유명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도 이 시기에 건설됨.
      • 마지막 통치자는 유명한 클레오파트라 7세였으며, 기원전 30년 로마에 정복되면서 왕국이 멸망.
  2. 셀레우코스 왕국 (Seleucid Empire, 시리아-메소포타미아-페르시아 지역)
    • 통치자: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 위치: 현재의 터키 일부, 시리아, 이란, 이라크, 중앙아시아까지 포함하는 광대한 영토
    • 수도: 안티오키아 (시리아) → 후에 셀레우키아 (이라크)
    • 특징:
      • 알렉산드로스가 정복했던 동방 지역을 차지하면서 가장 넓은 영토를 가졌지만, 너무 넓어서 통치하기 어려웠음.
      • 페르시아 및 중앙아시아의 문화를 적극 수용하여 헬레니즘과 동방 문화가 융합됨.
      • 하지만 점점 세력이 약해져서 기원전 63년 로마의 폼페이우스에게 정복되며 사라짐.
  3. 안티고노스 왕국 (마케도니아 왕국, Antigonid Kingdom)
    • 통치자: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 → 후에 안티고노스 2세 곤타스
    • 위치: 마케도니아 본토, 그리스 본토 일부
    • 수도: 펠라 (마케도니아 왕국의 전통 수도)
    • 특징:
      • 알렉산드로스의 원래 고향인 마케도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그리스 도시들을 통치.
      • 다른 두 왕국(프톨레마이오스, 셀레우코스)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국가였음.

그리스 도시국가(폴리스)들과 지속적으로

갈등을 빚었으며,

결국 기원전 168년 로마에 정복됨.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제국은 이렇게 세 나라로 나뉘었다!

  1.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이집트)
  2. 셀레우코스 왕국 (서아시아)
  3. 안티고노스 왕국 (마케도니아 & 그리스)

이들은 모두 헬레니즘 문화를 퍼뜨리는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결국 로마의 확장 앞에서 차례로 멸망했어.

알렉산드로스의 제국은

오래 지속되지 못했지만,

헬레니즘 문화는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이 중요해!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