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인더스 문명: ‘하라파’ & ‘모헨조다로

by 지금이순간마법처럼 2025. 4. 9.
728x90
반응형
SMALL

세상에서 제일 오래된 도시들 중 하나,
‘하라파’랑 ‘모헨조다로’, 들어본 적 있어?

 

이건 수천 년 전~ 인도와 파키스탄 땅 어딘가에
아주 똑똑하고 부지런했던 사람들이 지은 도시야.


자, 그럼 인더스 강 따라
먼 옛날 여행 한번 떠나볼게~

 강 따라 지은 똑똑한 도시

아득히 먼 옛날,
기원전 2500년쯤,
인더스 강 근처에는 사람들이 무리지어 살기 시작했어.

 

그 중에서도 제일 유명한 도시가
바로 ‘하라파’와 ‘모헨조다로’였지.

근데 이게 그냥 동네가 아니야~

놀랄 만큼 잘~ 계획된 도시였어!

 도로는 바둑판처럼 반듯반듯!
 집마다 화장실도 있었고,
 심지어 하수도도 따로 있었지 뭐야!

 

그 당시에 하수도가 있는 도시라니,
진짜 놀라운 일이었어!

 벽돌 하나하나에도 정성이…

하라파와 모헨조다로 사람들은
벽돌 하나하나도 똑같은 크기로 만들었어.

이건 무슨 말이냐면,
그때 이미 표준화란 걸 알고 있었단 뜻이야.

 

“이 벽돌로 집을 짓고, 저 벽돌로 목욕탕을 짓자!”
하면서 모두가 똑같은 규격을 사용했어.

 

이건 마치 지금 우리가 레고 블록으로 집을 짓는 거랑 비슷해!

 목욕탕이 도심 한가운데?

모헨조다로에는
‘대욕장(Great Bath)’이라는 커다란 목욕탕도 있었어.

그게 또 얼마나 튼튼하게 지었는지,
지금까지도 그 자리에 남아있지 뭐야!

 

깨끗한 물을 쓰고, 흙벽돌로 물이 새지 않게 막고~
아마 종교 의식이나 특별한 모임이 있었던 것 같아.

지금으로 치면,
동네 주민 모두가 모이는 '커뮤니티 센터' 같은 곳이지~

 글자는 있었지만, 아직 해독은 못했어

하라파와 모헨조다로 사람들도
자기들만의 문자를 만들었어.

돌이나 도장 같은 데다
짧은 기호 같은 걸 꾹꾹 새겨 넣었지.

 

근데 아직도 그 ‘인더스 문자’는 누구도 완전히 해독하지 못했어.

얼마나 복잡하거나, 우리가 아직 모르는 방식으로 써놨길래
전 세계 박사님들도 머리를 싸매고 고민 중이야!

 

그 문자가 풀리면,
더 많은 당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텐데 말이지.

 그런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이렇게 번성하던 문명이
어느 날 갑자기 자취를 감춰버렸어.

왜 그랬을까?

  • 큰 홍수가 나서 도시가 잠겼을지도 모르고,
  • 기후 변화로 먹을 게 줄었을 수도 있고,
  • 다른 민족의 침입이 있었을 수도 있어.

아직도 그 정확한 이유는 미스터리야.
그야말로, 고대 인류 역사 속 미스터리 중 하나지!

 지금은 유적이 되어,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는 도시

지금은 파키스탄 땅에 남아 있는 유적지로 남아 있어서,
학자들이 발굴도 하고, 연구도 하고 있어.

이 도시들을 보면 알 수 있지.


'아~ 인류는 정말 오래 전부터 지혜롭게 살아왔구나!'

이런 생각이 절로 들어.


하라파랑 모헨조다로 이야기,

세상에서 제일 오래된 도시들이
깨끗하고, 똑똑하게, 질서 있게 만들어졌다는 건
참 놀랍고 자랑스러운 일이야.

 

이렇게 오래된 옛날에도
사람들은 서로 돕고, 함께 살아가는 법을
알고 있었던 거야.

 

역사책보다 이런 옛 도시 이야기 들려주는 게
훨씬 재미지 않아?

 

728x90
반응형
LIST